유권자의 투표에 대한 이해

시사 2012. 4. 13. 16:33

선거가 끝났다.  선거 당일 아직 개표가 종료되지도 않았는데, 동료가 전화가 받았더니, 너는 자고 있느냐며 투정이다.  선거 다음날인 어제도 한분이 선거 얘기하다, 내가 생각나서 전화하고 찾아 왔단다.  오늘도 동료 한분이 점심 같이 먹고 내 방에서 차를 마시니, 주로 선거 이야기다.  선거를 지켜보면서, 내가 아는 분들의 성적에 관심을 갖고, 그리고는 유권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무슨 이유로 누구에게 어느 정당에 투표하였는지 궁금할 수 밖에 없다.  투표도 무작위적이거나, 본능적인 투표가 아니라, 매우 이성적인 투표이고, 전체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집합행위이기도 하다.  그래서 투표행위는 4년마다 이루어지는 사회적인 집합적 선택이기도 하다.


우리의 투표는 후보자 선호에 대한 의견표명, 토론, 평가 등이 주로 불법선거운동이라는 위험을 무릅쓰고 해야 하는 상황이라, 될 수 있으면, 특히 잘 모르는 사람이 있으면 하지 않는다.  대개 투표는 후보자와 정당에 대한 무지의 상황에서 투표를 하게 된다.  이를 활용하듯 대부분의 후보자 역시, 거리에서 머리를 조아리고, 악수하고, 춤을 추는 의례와 예절, 유희에는 힘을 쏟지만, 정책을 알리고 다른 후보와의 차별성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는 달가와 하지 않는다.  그래서 대개는 좋은 정책을 만들고, 국회활동을 많이 하신 분들은 유권자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기 어렵다.  후보자의 품성이 너그러운 사회관계만이 유권자들에게 평가받을 뿐이다.


경남의 상황을 기반에 두고 보면, 지역을 분류해 보면, 3가지 정도로 나뉠수 있다.  (1) 노인층이 주를 이루면서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는 서부권 전통지역, (2) 노동자 밀집지역으로 진보적인 정치세력이 강한 창원과 거제 지역, (3) 부산출퇴근 권이 되면서, 부산의 영향권으로 편입되는 김해와 양산이 그것이다.  이 3지역은 유권자의 인구학적 구성, 이에 따른 정책적 이해관계, 의사소통 방식,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평가방식의 차이가 분명이 존재한다.  노인층과 젊은 층은 명백히 이해관계가 상충된다.  노인층의 복지를 가족 내에서 해결하던 시대에는 젊은 층이 잘살아야 노인들도 부양을 받아 잘 살    었다.  그러나 가족의 노인부양기능이 약화되고, 국가 의존이 심화되면서, 노인층의 정책 이해가 높아졌고, 동시에 투표 참여가 강화될 수가 있게 되었다.  반면에 젊은 층은 미래세대에 대한 투자인 육아와 교육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으면서도, 국가 의존보다는 시장의존적인 해결방식을 선호하여, 투표에 대한 응집력을 갖고 있지 못하였다.  최근에 시장의 불안정성이 강해지고, 개인의 노력이 한계를 보이자,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