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 과학 -> 산업혁명

역사/17-18세기 2009. 1. 28. 15:07

역사를 배우면서 항상 떠나지 않는 의문은 어떻게 서양이 동양을 지배하게 되었느냐? 라는 초보적인 질문에서부터 서양의 문화나 생활양식이 지구의 모든 거주자들에게 영향을 강요하게 되었느냐에 있다.  중세의 서양이 종교에 의해 지배되던 세상이라면, 르네상스를 거치고, 지구상으로 개척이 이루어지면서 과학적 세계관이 나타나게 되었다.  물론 간단하게 서술하고, 이를 역사적인 사실로서 외우는 것의 이면에는 상당한 진통과 역사의 반동이 진행되었다는 점도 지적해야 할 것이다.  지구상의 탐험은 물론 해외 식민지 개척을 통한 부의 축적이 일차적인 동기이기는 하지만, 항해술의 발달이 한몫을 했을 것이다.  부의 축적이라는 동기가 중요하게 된 이면에는 유럽 역사에 등장하는 왕조들의 국가 재정 확보, 이를 통해 전쟁능력의 고양, 끊임없는 전쟁의 위협과 전쟁에 의한 영토 침략의 유혹이 존재했을 것이다.  혹자는 전쟁에 의해 국가가 형성되었고, 국가는 전쟁에 의해서만 존재할 수 있었다고 까지 평하기도 한다.  아무튼 서양의 17-18세기는 전쟁의 세기였다는 점만은 분명하고, 이러한 전쟁은 대부분 왕조들간의 영토야욕을 툴러싼 전쟁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국민국가의 전쟁이나 종교전쟁, 징집된 군인들에 의한 전쟁은 아니었다.  상비군이거나 또는 용병이거나 대부분 돈을 주고 고용한 사람들에 의한 전쟁이었다는 점이 다르다.  조선의 경우에는 전쟁이 발발하면, 예를 들면 임진왜란과 같은 경우에는 농민들을 아무런 급여를 주지 않고 강제로 동원하는 형태였거나, 아니면 왜군의 경우에는 조선을 정복하여 그 약탈품을 소유하게끔 하여 군인들을 독려하였다.  물론 당시에 참여한 명나라군들은 급여를 주는 군인들이었다.

부의 축적에의 갈망이 곧바로 과학적인 사상의 보급을 가져온 것은 아니었다.  과학적 아이디어는 한편으로 절대주의 국가체제나 로마 교황청의 명목상의 허가를 받는 것이기는 하지만, 국가 지배의 신성함을 보장받는 기반을 부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적 아이디어는 국가 지배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전쟁무기나, 전쟁에 소요되는 재정을 풍족하게 하는 산업에는 도움이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11600-1700년대에는 끊임없는 갈등이 계속되었다.  즉 한편으로는 종교의 신성함을 강조하기 위해 종교전쟁이 벌어지고, 과학적 세계관이 세속에 퍼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종교재판을 통해 사상과 표현을 통제하는 한편, 건축물이나 무기, 길, 항구, 터널 등의 건설을 위해서는 과학의 힘을 사용하게 된다.  종교나 세계관에 대한 갈등은 일반인들에게까지 광범위하게 퍼져서, 종교전쟁의 폐해는 일반인들까지 전쟁에 가담하게 되었고, 마녀 사냥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적인 따돌림을 행하게 된다.  사회적인 따돌림과 희생양은 사회적인 격변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회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당시의 사람들이 느낀 사회격변(생산성의 발달, 도시의 등장, 사회적 격차의 심화, 지식의 보급에 의한 종교적 권위의 상실)의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