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교육'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2.23 훈육, 순치, 자아의 등장

훈육, 순치, 자아의 등장

역사/1900-1919 2010. 2. 23. 12:01
1910년대는 일제가 식민통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한국내의 기존 사회 신분은 심각한 동요 현상을 보인다.  즉 과거가 폐지되고, 토지조사 사업으로 이익을 본자도 있겠지만, 일단 기존의 토지를 기반으로 한 양반층의 재편성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이에 따라 토지를 기반으로 지역에서 안정적인 신분층으로 존재하던 대주지 계층은 계층적 불안정,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휩싸이게 된다.
이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가족이나 혈족 내에서는 과거에는 관료진출을 통해 출세를 위한 학문에서, 일단 미래를 보장하는 수단으로 해외 유학을 선호하게 된다.  이때 많은 양반 대지주의 자제들이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신학문에 접하게 된다.  그러나 조선조말의 양반층이 학문하는 태도와는 다른 방식으로 근대적인 대학에서 학업에 임하게 된다.  즉 공무를 완료한 후에 특별한 직업 보장이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  따러사 가족이나, 마을사람들의 기대와는 달리 고등교육을 받았지만, 이들은 확실한 직업과 위세를 갖는데 실패하게 된다.  1910년이전만 해도, 유학이라는 것은 관에 의한 국비 유학으로 모두, 기존의 관료나 국가체제에 봉사할 것을 전제로 한 것이었으므로, 미래안정성이 보장되므로, 고민할 필요는 적은 편이었다.

여기에 일제의 통치 정책은 특히 수세정책은 초기에 주세, 연초세, 가옥세를 신설하여 징수하였는데, 아직 근대적인 공장채제가 발달하기 전이라서 수공업적인 방식으로 집에서 제조하여 자가소비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양반지주계층들이 주세의 대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일제 총독부는 징세와 수세를 위하여 가가호호 방문하면서, 강압적으로 독려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따라서 과서에 수령에 의해 징수되던 마을 단위의 징세에서 이제는 가가호호방식으로 바뀌면서, 공동체적인 연대성이 약화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일제는 위생을 중시한다고 하면서, 가가호호 방문하고, 거주하는 사람들을 일일이 호명하고 끌어내서어 이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가족의 권위가 말살되고 이제는 개개인이 각자의 위생을 책임지고, 이를 국가가 공인해 주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이는 세무공무원을 두고, 헌병경찰제도를 도입하여 강압적으로 이루어졌고, 교육기회와 기업기회는 제한하면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역사 유적의 말살과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 내는 박람회, 박물관의 설립 등이 이어진다.
또한 일제는 초기에 단행된 사회적 간접 기반시설을 위해 토지의 수탈(자진 헌납)과 동시에 노력 동원을 강제하게 된다.  일본의 우익들은 이점에 대해 일본 제국의 자금이 직접 한반도의 항구, 철도, 도로 등의 건설에 사용되었다고 강조하면서, 식민지에 대해 일본이 오히려 희생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한반도의 자원을 수탈하고, 일제의 제품을 판매하는 루트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음은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다.
일제는 또한 1910년대는 내내, 무력을 앞세워서, 한국인들을 통치하였다.  무력 통치는 기존의 권위 체계를 무너뜨려서, 공동체 의식이다, 사회적 신성을 무너뜨려, 긍정적으로는 현실의 냉혹성과 과학적 인식의 중요성을 깨우쳐 주었다고 볼수도 있지만, 사회적 공동체성을 무너뜨리는 데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노인들에 대한 존경심의 상실, 무력을 앞세우는 일제의 앞잡이가 됨으로써 자신의 출세를 노리는 사람들이 등장하여 기존의 권위는 무너지게 된다.

필자는 이러한 요인들이 공동체성의 상실을 가져왔고, 1900년전후로 시작된 민족의식이 1907-9년의 의병으로 운동으로 나타났지만, 아직은 근대화된 의식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반동적인 성격이 컸었다고 보여진다.  비로서 1910년대의 방황과 1919년의 독립운동을 기점으로하여, 한국인들은 근대적인 의식으로 깨어날 수 있었다고 볼수 있다.  독립운동은 한국인들의 광범위한 참여, 기존의 지도자들의 권위를 되살리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세로운 사회적 권위와 공동체 의식이 민족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이선이, ?, "초기 자유시 담당층의 정체성 모색과 그 의미," 국제 어문, 26집: 91-112
신지연, 2007, "재현의 언어와 최남선의 산문형 시", : 4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