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선'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10.29 한완상 전 통일부 장관 강연 소감

한완상 전 통일부 장관 강연 소감

역사/20세기 2013. 10. 29. 15:52

지난 금요일 10월 25일 금요일 오후 4-6시에 경남대 인문관 101강의실에서 한완상 전 통일부 장관 (1993년)을 모시고, 경남대 인문학 명사 강좌를 개최하였다.  중간고사가 있는 주일의 금요일 오후라서, 학생들의 참석이 어려울 것이라고 학생회에서 우려를 전달하였다.  한선생님의 일정을 고려해서 그리했기에 그대로 진행하였다.  그래도 학생들이 사회학과의 경우 현재 85명 재학생에 20여명이 참석하였고, 질문도 있어서 다행이었다.  선생님은 강연중에 역사적인 사실과 평가를 하시면서, 민족 자주의 입장에서 평화적인 상생을 주장하셨기에 이러한 사실을 제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치지 않는 우리 교수들을 혼내셔서 그런지 학생들이나 일반 청중들은 교수가 어른 교수님으로부터 꾸중 듣는 모습이 생소해서 흥미로왔다고 강연후에 전해 들었다.

선생님은 자신의 제자들이 경상대나 경남대에 있는 제자들이 별로 변한 것이 없다고 말쓰하시고, 그러나 청중들은 한완상 선생님이 변하지 않은 모습으로 민족과 사회적 실천에 대해 말씀하시는 모습을 감동을 받았다고 역시 나에게 전했다. 이런 모습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어떻게 전달될 모르지만, 사람이 특히 지식인이나, 사회적 실천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시대가 변함에 따라 이리 저리 흔들리는 세태에 비추어 보면 감동적인 모습인 것 만은 사실이다.

최근에 나온 저서에 사인을 해주시면서, 날자는 2013년 10월 26일로 기록해 주시고, peace maker란 표현을 사용하였다.  peace maker는 이미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2000년에 안기부장)이 저서에서 사용했던 말이다.  즉 임동원은 peace keeper가 아니라 peace maker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뀌어야 한민족의 번영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동구권이 망한 시기에 북한은 남북 관계의 개선을 간절히 소망하였다.  이유는 중국과 소련이 한국과 국교정상화하는 상황, 그리고 사회주의 권이 개혁 개방으로 나아가는 상황에서 한국과의 국교 정상화를 통해 체제 유지와 개혁개방의 물꼬를 트려고 했었던 것이다.  여기에 미국이 한국의 핵무기를 철수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전이 자신들의 기득권에 내걸고 있던 세력들은 남북한의 화해 협력을 바라지 않았다.  이 시점에서 노태우 대통령 말기에 남북 협상이 완료되었고, 비핵화 선언이 나왔던 것이다.   1992년에 조치를 취하려던 이인모 장기수의 북한 송환은 다시 미궁에 빠져 버린 상태였다.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민족을 최우선의 가치로 둔다는 점을 천명하고, 한완상 교수님이 통일원 장관 겸 부총리가 되면서 전격적으로 3월에 이인모씨의 송환이 이루어 졌다.  그 이후 보수언론에 의해 한완상 총리는 좇기는 신세가 되고, 김영삼 대통령도 역시 여론의 악화를 염두에 두고 과감한 정책을 취하지 못했다.  당시에 서울 광화문 정부 종합청사에서 부총리 님을 만난 나는 약속도 없이 찾아간 제자에게 1시간 이상을 할애하시면서, 현재의 상황을 셜명해 주셨고, 바깥에서 도와달라는 말씀을 들었으나, 나의 능력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어서 그냥 방관한 기억을 갖고 있다.

통일원이 대북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고, 안전기획부에 의존하는 상황이 안타까웠다.  따라서 주도권을 갖고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임동원의 책에 지적되었고, 1993년 가을에 감사원 감사를 통해 밝혀진, 안기부의 대통령 청훈 묵살, 왜곡, 지연 등의 문제점이 사실상 안기부는 남북 화해를 대통령의 의지를 무시하면서까지 방해하고 있었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말하자면, 대통령에 대한 항명이나 마찬가지였다. 이런 상황을 한완상 전 통일원장관께서는 책을 통해서 극좌와 극우의 적대적 공생관계로 표현하셨다.  강연 말미에 발악이 아닌 발선을 하자는 말씀을 하셨다.  상대방에게 선을 행하면 선이 돌아오고, 선 순환이 시작된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이다.  실은 이것이 신뢰프로세스다.  엄연한 국제관계에서는 다소 낭만적인 표현이지만, 그래도 우리와 같은 강대국에 둘러싸인 강소국의 전략으로는 염두에 두어야 할 전략으로 여겨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