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전관거류지'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2.02 철도가 마산에 남긴 흔적

철도가 마산에 남긴 흔적

역사/1900-1919 2010. 2. 2. 07:04
애초에 철도를 연구하려는 목적은 근대화의 역사에서 철도의 개발은 각 나라의 원시적 자본축적을 가능하게 하고, 시장의 발달과 자원 개발(수탈)을 촉진시켜 자본주의 발전을 가속화시켰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마산과 삼랑진 사이의 철도 건설이 갖는 의미를 탐구하여 하였었다.  물론 사회적으로는 철도의 등장은 철도를 매개로 한 좌석의 평등성(양반 상놈,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앉아서 서로 담론을 나누거나, 아니면 적어도 눈을 마주치면서 장시간 있어야 된다는 사실 그 자체), 시간과 공간 개념의 변화도 중요한 인식세계의 변화를 촉진 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당시 1904년 정도의 철도의 속도가 시간당 20Km, 최대 50Km까지 가능하였다고 하더라도, 아무튼 당시까지 나온 어떤 운송수단보다도 빠른 것이었다.  사람의 걷거나 달리는 속도가 최대 8Km정도, 따라서 대개 하루에 40-50Km가 최대한 속도였고, 말을 타고 달리더라도, 대개는 50Km 정도의 속도로 전진하였었다.  징기스칸의 말달리는 속도도 빠르다고 하더라도, 말이 휴식을 취하고, 먹이를 먹고, 적의 저항에 부딪치고, 말에 탑재한 무게를 줄이는 방식으로 속도를 빠르게 만들었었다. 아무튼 기차의 등장은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시공간의 변화를 가져온 획기적인 변화였다.  물론 이런 변화가 이미 영국에서는 1825년경 시작되었지만, 마산에서는 1905년에 마산선이 등장함으로써 시작되었다.

마산선은 애초에는 우리나라의 철도의 선각자인 이기종이 시작하였으나, 자금의 부족, 특히 외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일본 자금에 의존하여여만 하는 상황에서 의지만 갖고 될 일은 아니었다.  그래서 일본인의 자금, 조선왕조 세력의 후원으로 일을 진행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일본인의 자금이 필요한 이유는 당시는 일본의 경우에도 철도 선로 자재는 해외에서 수입하던 시기였고, 또한 철도 기관차나 수송용차 등 거의 모든 것을 해외에서의 수입에 의존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외환이 필요하였다.  또한 측량기사, 터널 공사, 교량공사, 궤조부설, 기반조성 공사, 운영에 관한 상황 등 거의 모든 것이 이미 경인선을 개설하였고, 경부선 공사가 진행중이었지만, 이에 대한 노하우를 아직 갖지 못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 육군은 한일의정서에 의거하여 군용을 목적으로 한 것에 대핸 대한제국정부의 전폭적인 협조를 빌미로, 일본의 육군이 강제로 빼앗아서, 공사를 진행한다.  당시의 경부선, 경의선, 마산선 공사로 인해 일본의 철도건설업자들은 막대한 이익을 취하고, 그 근거는 한국인을 활용한 인력과 대한제국정부가 제공한 막대한 토지를 거의 아무런 보상도 하지 않은 정도의 상태에서 일을 진행하였기에 세계에서 당시까지의 기록에는 가장 싼 철도를 부설하였던 것이다.  그 이익은 대한제국 인민들의 원시적 자분축적이 아닌, 일본의 원시적 자본축적에 기여하였고, 철도 운영의 각종 기술을 익히는 장이 되었던 것이다.

일본외무성 기록을 보관하고 있는, 그 중에서도 아시아 관련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아시아 역사자료 센터의 인터넷으로 들어가면, 마산 사삼랑진간 군용철도 부설 1건이라는 114쪽 분량의 자료가 뜬다.  여기에는 1904년 8월 3일부터 1905년 8월31일까지 외무성이 주고받은 서류가 철해져서 보관되어 있다.  필자는 일본어의 붓글씨체로 쓰여져 있고, 독해에 능하지 못해 완전히 해석하면서 읽지는 못했다.  기회가 되면, 이 자료는 마산에서 번역, 해석하여 자료로서 공간했으면 한다.  지도도 5장이 첨부되어 있다.  마산의 정거장 부지에 관한 것들이다.  정거장 부지 지도를 보면, 장군천의 하류는 현재 시청 옆으로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현대 다파트 방향으로 흐르던 것을 시청방향으로 직선화 시킨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미 당시에 현재의 장군천 시장 앞의 길은 있었고, 새로 현재 시청 앞길을 만들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철도정거장 부지는 각국조계지를 경계선으로 하여, 현재의 시청앞 길과 철도가 만나는 지점까지 소위 신마산 전체를 아우르는 정도의 규모를 지녔었다.  정작 실제로 정거장 시설로 사용한 것은 시청옆의 부터 각국조계지 경계선까지 인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이 부지는 대부분 논이었고, 여기에 정착한 사람들은 현재 추산동 무학국민학교 뒷산 중턱, 신월동(정거장 부지 경계선 바로 바깥), 그리고 반월동 부근에 마을을 이루고 살고 있었다.  따라서 정거장 부지 용지를 매입하려면 이들 소유의 부지와 마을을 매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얽혀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조선정부와 협의를 해야하지만,사실상, 일본이 위협을 내세우고, 협상을 벌이는 양면적인 전략을 구사하였다.

현재의 마산의 도시구조를 보면, 구마산(원마산)에서 3.,15의거탑을 지나면서 부터 정거방 부지, 각국조계지, 그리고 경남대학교 부근부터는 공터, 다시 일본인 전관거류지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