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점'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3.05 식민지의 기반위에 건설된 부국들

식민지의 기반위에 건설된 부국들

역사 2009. 3. 5. 11:14

19세기는 국가나 시장의 측면에서 팽창, 침략, 먹느냐 먹히느냐의 싸움이 시작된 해였었다.  이전의 사회는 단순히 국가의 야욕이나 기후 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변화에 의해 민족의 이동과 이민족의 침략이 행해졌다면, 19세기 접어들어서는 마치 침략이 국가나 한 사회경제의 생존조건인 것으로 드런나 시기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를 뒤밧침하는 이론들이 진화론, 약육강식, 시장경제론(분업과 무역에 의한 상대적 이익), 문명화 이론 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를 두고 혹자는 유럽중심주의적 이데올로기라고 명칭을 붙인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유럽이 왜 팽창을 자신의 중요한 생존전략으로 내세웠는가에 있다.  상당수의 학자들은 유럽이 해외 식민지 경영에 나섰다고 하여도, 이들의 식민지 경영은 실제 경제에 많은 도움을 주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원료공급지로서의 천연자원의 수탈, 제조업 공산품 시장의 개척, 금융자본의 투자처로서의 기능은 미흡했다고 주장하고, 오히려 이들 국가에 시장을 만들어 내기 위한 기반 투자에 많은 돈이 들었다고 주장한다.  즉 도로나 철도의 건설, 항구와 공항, 이를 유지하기 위한 군대의 고용 등에 많은 돈이 들었다는 것이다.  실제로도 강대국들은 서로 상대국들끼리 무역양이 많고 식민지 국가와의 무역량은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은 사실이다.  양이 적다고 중요치 않다는 주장은 임계점, 위험 회피 장의 마련, 통제 가능한 경제 영역의 구축이라는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한 결과이다.   즉 식민지라는 것이 산업선진국의 주요 무역 상대는 아닐지 몰라도 이들이 없으면 안전하게 다른 강대국과 경쟁할 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즉 경쟁을 위해서는 내적으로 기술개발이나, 제도 혁신, 자본투자, 노동력의 강화나 외연적 확장을 통해서 경쟁을 해야 하는에 이는 사실상 쉽지 않은 전략이다.  따라서 손쉽게 이를 강요할 수 있는 방식은 식민지에서 아주 값싸게 원료를 수탈하거나(강압적인 방식이나 사기적인 수법에 의해), 노동력을 착취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내적인 혁신을 이루어내는 것보다 휠씬 값싼 방식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서구 제국들이 19세기에 해외 식민지 쟁탈에 사활을 건 것은 그들 서구 제국끼리의 경쟁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당연한 전략이었을지 모른다.  문제는 그것을 당하는 나라나 공동체, 인간들은 노예상태로 빠진다는 점에 있을 뿐이다.  서구 내부에서도 모든 이들이 산업혁명의 혜택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19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 상당수의 프롤레타리아트들(임금 노동자들)은 실질임금의 상승이라는 혜택을 받는다.  19세기 전반의 전반적인 기술 숙련 장인 노동자들의 지위가 약화되면서 농촌에서 풀려나온 1세대 임금노동자들은 공장에서 일을 시작하면서 신분상의 구속에서 해방되고 어느정도 살만한 임금을 받기 시작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자본가들 역시 소규모 수공업적인 자본가들이 이제 상당한 자본을 투자하여 기계와 설비를 설치하여 장기적으로 체계적으로 공장을 운영하는 기술을 배워나가야 했다.  벌써 19세기 후반되면 독점자본가들, 대규모 자본가들이 나타나 이들이 서구 사회의 국가정책을 요리하고, 노동자들의 탄압에 앞장서기도 하고, 때로는 자선단체를 만들어서 지금도 존속하고 있는 대학들도 세우고, 재단도 만들어서 너그러운 면을 보이기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