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세계대전은 공장에도 전쟁을 불러 일으켰다.

역사/1900-1919 2010. 2. 15. 10:54
1차세계대전은 기본적으로 국가간의 전쟁이다.  국가 간의 전쟁이라고 하더라도, 대량샐상무기에 의해 민중의 대량 죽음,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군수역량과 이념적 동원이 필요하기에 국가내부의 이데올로기와 국가의 국민 동원능력, 산업 역량이 총동원된 전쟁이었다.  그래서 1차세계대전은 국가의 재정능력, 대외 무역 루트가 봉쇄된 가운데 국가들의 산업역량이 최대한 개발된 시기였다.  국가의 재정능력은 대내적인 저축과 희생니마, 징세능력과 과세 부담의 증가는 물론이고, 이에 따른 국민들의 생활고, 국가의 재정 착취능력, 국민들의 국가의 희생요구에 헌신할 수 있는 가능성에 기반을 두어야 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이미 해상봉쇄가 이루어지고, 각 나라들이 자기들의 국채 발행을 통해 해외 자금을 조달하고, 보호무역주의가 활개를 치던 시기이기에, 각 나라들은 최대한 생상량을 늘려, 군수장비는 물론이거니와, 민수물자의 수급에도 만전을 기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여기에 각 국가의 산업체들은 과거에 수입에 의존하던 산업들을 국내에서 생산하여야 하는 상황에 처한다.  영국이 이 시기에 섬유산업의 쇄퇴를 가져오고, 일본이 섬유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다.  일본응 이 시기에 특히 전쟁을 피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 독일이 점령한 영토를 가볍게 쟁탈하고, 섬유 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다.  영국의 쇠퇴와 일본의 일등국가로의 발돋움이 완성된 것이다.  각 국가들은 이제 인민들의 필수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량생산체제로 들어가고 이를 위해 산업의 기계화, 합리화, 대규모화에 들어가게 된다.  이에 성공한 국가들은 미래의 강자가 되었고, 이를 수행하지 못한 국가들은 쇠퇴의 길을 가게되는 분수령이 된 시기이다.

또 하나의 산업체내의 갈등은 계급간의 갈등시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산업화가 진행되고, 대량생산체제가 들어서면서 과거의 숙련노동자는 점차로 일자리를 잃게 되고, 대신, 반숙련노동자나, 미숙련노동자들이 대거 노동자로 참여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숙련노동자들의 저항, 미숙련노동자들의 착취에 대한 항거가 본격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미 1차세계대전 전에 시작되었던 노동자들의 저항은, 1차대전 기간과 1917년의 볼세비키 혁명이라는 유리한 고지를 맞이하여, 전세계적으로 노동조건의 향상(특히 8시간노동자가 미국의 전시기간에 군수물자 생산 산업에 도입되고, 러시아의 2월혁명 후에 곧바로 8시간 노동제가 확립되었으며, 이제 전세계의 노동자들은 자연스럽게 8시간 노동제를 주창하게 된다), 작업장내에서의 억압에 대한 불만 토로, 공장관리운동, 공장 소유운동등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이에 대해 비단 혁명이 성공한 러시아만이 아니라, 독일과 오스트리아, 불란서 등에서도 공장 관리운동이 부분적으로 등장하고, 미국에서도 자비로운 사업주에 의해 선도적으로 부분적으로 도입되게 된다.  이제 노동운동은 단지 작업장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기업내의 복지, 즉 노동자 식당, 노동자 주택, 노동자 건강 보험(산업재해), 퇴직기금 등이 도입되는 계기가 된다.  공장이나 기업만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의 노동자 복지제도도 이제 서서히 도입하려는 움직임과 실제의 도입이 시작된다.

'역사 > 1900-19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로시마 1910년대 조선인의 노역흔적들  (0) 2010.02.16
고독한 개인, 浮游하는 대중의 형성  (0) 2010.02.16
일본의 이중성  (0) 2010.02.13
신해혁명과 러시아 혁명  (0) 2010.02.12
노동자와 볼세빅  (0) 201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