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 지능

교양 2008. 10. 22. 17:56

지난 촛불 집회를 겪으면서 한때 유행한 말이 떼지능 또는 집합지능이다.  개미들이나 벌들의 경우에 하나의 개미나 벌들은 특별한 지능을 갖고 있지 않지만, 여럿이 모이면 매우 뛰어난 집을 짓거나, 자기들이 겨울에 먹을 먹이를 저장해 두거나, 외부의 공격에 대해 집단적으로 방어하는 사회적인 체제를 갖추고 있다.  집단적으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하나 하나의 개미의 입장에서 보면 전체를 생각하지 않으면서도 앞에 있는 개미가 하는 행동만 따라서 해도 발생한다는 것이다.

물론 촛불집회에서 나온 집단 지능은 온 라인 상을 통해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토론하고 대책이 나오고 시민들이 조직되어 움직이는 현상을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그러나 아무튼 개인들은 전체적인 현상 파악, 그리고 효율적인 대책을 만들기 어렵지만, 집단의 토론을 통해 현상 파악과 효율적인 대책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표현한 말이다.  시장경제를 주장하는 이들도 이와 비슷한 주장을 하는 경우가 있다.  즉 시장에서는 각 개인들은 자기의 이익을 최대한 추구하기 위해 행동하지만, 사회 전체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사회 전체의 효율이 추구된다는 논리이다.  물론 현실적으로 이러 사회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러한 사고는 이후의 자본주의 체제의 개인들의 행동논리가 되었다.

집단이 토론을 벌이는 것은 토론의 참가 기회문제를 떠나, 토론이 갖는 소수의 사람이 주도한다거나, 듣고 말하는 기술이 없어서 논리적인 사고나 비판적인 사고가 사라져서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사고가 발생하지 못하는 현상을 지적하고는 한다.    즉 토론을 한다고 해서 항상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토론은 개별적인 의사가 표출되는 장이라기 보다는 개별적인 의사들이 모여서 집단적으로 사회에 적합하고 그 구성원들이 만족스러운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따라서 토론에서는 가능하면 많은 이들이 상대방의 말을 듣고, 사고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모든 참여자들에게 평등한 발표기회를 주는 것을 넘어서서 청취, 사고, 표현이라는 과정을 조직하고, 허용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만일 구성원들의 표현을 막고, 사고할 기회를 주지 않거나, 사고에 대한 처벌을 하거나, 표현을 가로 막는다면 사회에서의 합의는 형식적인 합의가 되고, 이런 사회에서 만일 광우병 소고기와 같은 이슈가 터지면, 유포되는 정보의 불확실성, 사람들의 공포감이 증폭되어서 소문이 무성하게 되는 것이다.  앞으로 닥칠 극심한 불황의 상황에서 특히 자영업자나 하청업체 등, 또는 일용직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우선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들에게 가장 먼저 소문이 나돌고 그에 의해 사회적인 불안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표현과 사고의 자유로움을 허용하지 않는 사회에서는 소문은 아주 자연스럽게 확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