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의 교류는 자유로왔다.

역사/BC 2008. 11. 15. 13:17
역사서술 이전 시대를 선사시대라고 한다면
우리의 경우에는 아마도 삼국 초기 이전단계는 거의 선사시대에 속한다.
그리스의 경우에는 BC700년경부터 역사시대라고 칭할 수있을 지 모르지만.
선사시대에 대한 역사 해석은 순전히 발굴된 유물과, 드문드문 남은 중국이나, 일본의 사서들, 아니면 민담으로 전해내려오는 설화, 기록된 설화 들을 보고 해석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문제는 이 정도의 시기에 이르르면 같은 땅에 살았다는 것 외에 나와 같은 핏줄을 지녔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모호해 지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선사시대에는 국경선 통제가 거의 없었고, 아니 국경선이라는 개념도 없었고, 한반도의 경우에는 국경선 내에 주민들을 가두어 놓는 주민등록제도도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주민들은 국경선의 개념이 없이 자유롭게 필요에 따라 이동하면서 살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있다.  또한 정착식 농업이 완전히 자리 잡기 전에는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이동하고, 기후에 따라 이동하고, 수렵과 채취를 곁들인 생활이었다면 당연히 이동을 전제로 자시의 삶을 꾸렸을 것이다.

이동의 범위가 어느정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석기시대, 청동기 시대의 유물, 벽화의 비슷함, 다른 지역의 산물이 이동하여 나오는 정도 등을 파악한다면 일본의 큐슈지역은 가야에 해당하는 지역고 교류가 있었을 것이고, 중국의 산동반도는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인근의 섬들과 이동이 많았을 것이고, 중국의 요서지방은 요동을 거쳐 대동강변까지, 아니 더 나아가 울산지역까지도 비슷한 바위에 새겨진 조각을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동은 대규모로 정치나, 기후상의 변화로 인해 발생했을 것이다. 단순히 한 부족 단위로 경제를 위해 이동하는 정도의 거리는 아니었을 것이다.

중요한 점은 선사시대의 주민들은 국경의 거리낌이 현재보다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보다 이동의 자유를 누렸다고 볼 수 있다.  현재의 우리는 이동의 수단을 가지고 있지만, 이동할 때마다 국적을 의식하고, 강요당하고, 민족의식을 재현하는 각종 인공건조물에 세뇌당하고, 따라서 우리는 좁은 영토주의에 사로 잡히는 결과를 초래한다.  오히려 선사시대의 사람들은 좁은 영토라는 의식 자체가 없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한층 cosmopolitan 적인 사고와 생활을 영위하지 않았을까?

'역사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테네의 직접 민주주의  (0) 2013.10.05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타난 민주주의  (0) 2010.07.02
인류의 역사  (0) 2008.10.17
우주와 지구의 역사  (0) 2008.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