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닦이 헌장'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3.18 남파 앞 슈산 보이

남파 앞 슈산 보이

교양 2010. 3. 18. 10:08

역사의 주인은 누구일까 하는 생각은 항상 나의 뇌리에 떠나지 않았다. 역사의 흐름은 항상 공평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현장의 사실이 드러날 수록 드는 생각이었다. 어제 3.15 아트 센터 대공연장에서 문종근 제작 연출의 창작 뮤지컬 “삼월이 오면이”을 관람하면서 드는 생각이었다.

오성원에 대한 기록과 후세의 평가는 그저 하나의 동정심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적극적으로 역사의 흐름에 편입시키지는 못하였다. 1960년 3월 15일 마산의 남성동 파출소, 북마산 파출소, 시청앞에서 총을 맞고 죽어간 이들 가운데에는 의외로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당시 3월 16일부터 28일까지 마산에 머물면서 취재한 기록을 남긴 동아일보 이강현 기자는 “이번에 희생된 7명의 유가족집을 찾아가 보니, 공교롭게도 거의 모두가 조석을 걱정하는 빈한한 가정들이었으며, 그런 환경속에서도 부모들은 가르쳐 보겠다고 가진 고생을 무릅쓰고 피땀을 흘린 집안 뿐이었다”(1960. 4월 10일 발행한 잡지 [새벽] 5월호: 69). 희생자들의 가족들이 어려운 집안이라는 사실은 이들이 가장 격렬히 시위에 참여한 집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김태룡 (1964, 3.15 마산의거의 역사적 고찰, 마산시사 사료집 제 1집, 마산시사 편찬위원회: 259)은 이렇게 기록하고있다. 3월 15일 최후까지 저항한 이들은 밤늦게 무학국민학교를 탈출한 50여명의 추산공원으로 올라가자, 창원군청을 파괴하고 돌아오는 데모대와 합류하여, 같이 화장장(자산동)을 지나 서원골을 둘러, 계곡을 따라 내려와서 마포중학교(의신 여중) 교정에 집결하니, 200여명이 남았다. 이들은 “학생과 구두닦이, 직공 등으로 구성된 정예들이다”. 사회에서 가장 혜택을 받지 못하나, 열심히 살면서 미래를 꿈꾸고 있던 이들이다. 정의가 실현되기를 가장 강렬히 희망하는 이들이 격렬히 저항하였고, 또 이들에 의해 3.15는 살아있고, 민주주의는 그 구렁텅이에서 구출된 것이다.

오성원 역시, 고은의 만인보에 등장한다(23 : 191). “살아 있을 때 국숫집 지나가면 국수가 먹고 싶었다 구름을 보면 구름이 되고 싶었다”. 어제 공연에서 오성원이 부른 노래 “빈 몸 하나”의 가사에 구름이 등장한다. 그리고 보리수 다방의 서마담이 성원이에게 국수를 제공하는 장면이 나온다. 국수와 구름. 먹을 것과 꿈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우리의 삶이라는 것이 국수와 꿈을 먹고 사는 것이 아닐까?

오성원은 구두닦이이다. 어제의 공연에서는 주제가로 꼽을 만한 노래로 나는 ‘슈사인 보이’와 ‘구두닦이 헌장’ 중에서 고르고 싶다. 구두 닦이 경력 5년차의 21세 오성원은 “14세 되던 해에 삼촌집을 나와 구두닦이로 자립생활을 하여왔다. 이날 밤 오군도 이 대열에 참여하였다가 총탄에 쓰러진 것이다. 원래 고아이니만치 누구하나 오군의 시체를 거두어 주는 사람이 없었다. 이와 같은 사람을 알게 된 동료 구두닦이들이 푼돈을 모아 광목도 끊고 베도 사고 관도 가져다가 오군이 어렸을 때 뛰 놀던 산 중턱에다 장례를 치러주었다”(이강현, 1960: 70). ‘담배 파는 10대의 직업 소년 10명은 담배장수 밑천의 한귀를 짤라 관을 샀다. 그들은 경관에 사살된 동료 오성원의 상여를 메였다. 10대 소년의 장열은 눈물 바다가 된 거리를 구비쳐 흘러, ’길가는 나그네여 여기 길잃은 민주주의를 찾으려다, 3월 15일밤 무참히도 떨어진 21년의 꽃봉오리가 누워 있음을 전해다오‘라는 비문이 새겨진 비가 설 무덤을 향하여 올라갔다“(김태룡, 1964:286-287). 1939년생, 창원 팔룡동에서 출생하여 다시 팔룡동으로 돌아갔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바로 이들이 길을 찾아주었다.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와의 인연  (1) 2010.04.29
아무도 없었다.  (1) 2010.04.28
살인의 추억  (0) 2010.03.16
다방 내 담론의 특징  (0) 2010.03.16
만인보에 나타난 마산의거  (0) 201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