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노동'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3.24 임노동의 등장으로 취착당한 사람들

임노동의 등장으로 취착당한 사람들

역사 2009. 3. 24. 08:27
19세기 세계적으로는 임노동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이의 피해를 입은 계층의 반발이 확산되던 시기였다.  18세기부터 임노동이 본격적으로 영국에서 등장하고, 이에 따라 봉건제 농촌에서 소농이나 예속농으로 일을 하던 농민들이 도시에서 임노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대부분의 유럽대륙, 신대륙, 그리고 나머지 제국주의 침탈의 대상이 되거나 아직 되지 않은 나라들의 경우에는 여전히 장안노동, 노예노동, 농촌 노동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19세기는 임노동이 서서히 그러나 강고하게 등장하면서 공장에서 아니면 플랜테이션의 농장에서, 또는 거리에서 임노동의 형태와 동시에 존재하던 노예 또는 자유 노동자의 본격적으로 등장하던 시기이다.

임노동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가장 먼저 타격을 입은 계층은 공장제도의 등장으로 말미암은 장인노동자들이다.  이들은 가내 수공업의 형태로 장인과 도제제도를 통하여 제조직종의 특정분얄르 장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공인들이 공장제도를 통하여 기계를 도입하여 이제는 어린이나, 부녀자가 하는 노동으로 전환시켜 놓았다. 잘 아시다시피, 기계파괴운동이 간헐적으로 그러나 이들의 반발에 의하여 즉흥적이고 본능적으로 일어났다.  19세기가 되면 일단 영국이나 유럽대륙에서도 장인노동은 사라졌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그 정도는 분명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영국은 가장 먼저 사라진 나라이고, 유럽대륙은 그래도 서서히 파괴되지 않았나 싶다.  재미난 것은 미국이다.  미국은 이들 장인 노동자들이 TRADE UNION을 세운다. 현재 우리나라 노동조합이 사용하고 노동조합의 명칭이다.  trade union이라는 말은 실은 장인노동자들의 단체임이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소극적인 그리고 반동적인 노동운동을 주로 한다는 이유로 도입된 것이 아닌가 싶다.  아무튼 미국은 이들 장인노동자들이 독자적으로 19세기 노동운동을 격렬하게 주동한다.  이후에 서서히 숙련노동자들이 등장하지만, 이것은 19세기 말에가서야 나타난다.

19세기는 실은 임노동자의 시기도 아니었고, 장인노동자의 시기도 아니었다고 말할수 있을지도 모른다.  여전히 노예노동이 판을 치고 있었다고 보아야 하지않을까 싶다.  아프리카에서의 노예거래가 19세기 중엽되면 대부분의 나라에서 중지되지만, 밀무역은 여전히 판을 치고 있었고, 플랜테이션에서는 노예제도를 선호하고 있었고, 매매춘이나, 상당수의 가내노예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때로는 채무노예라고 불리우는 노예들은 자본주의 시대에도 성행하고 있었다.  지금으로 치면 신체포기각서를 쓴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노예는 아니지만, 이제 막 노예의 상태에서 벗어난 사람들이나, 농촌이나 다른 나라에서 일거리를 찾아 온 이들은 자유노동자로 살아갔다.  자유 노동자라는 뜻은 이념적인 뜻이 아니라 어디에서도 일을 하고 먹을 것을 구할 수 없다는 뜻에서 자유이다.   따라서 이들은 자유로운 만큼 도시내의 각종일을 처리할 수 밖에 없었다.  물장사, 오물치우는 일, 거리에서 사람들을 나르는 일, 짐을 나르는 일, 음식물 장사 등은 거의 세계적으로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등장한다.  심할 경우에는 매매춘으로 들어가거나, 그래도 편하게 다시 노예상태나 다름없는 가내일꾼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기계를 사용하는 공장의 등장으로 고용된 신규 노동력은 어린아이들과 부인노동의 등장이다.  이들은 남성노동의 감소를 가져와 상당수의 가정에서는 가장 선호하는 전략의 하나로 일단 아이들의 노동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인 노동의 등장은 가족의 전략에서는 가장 최후의 전략의 하나였다.  물론 일부 선진적인 영국의 도시에서는 부인노동자들이 선진 여성운동가의 도움을 받아 노동운동을 벌인 일이 있지만, 이 역시 매우 아이러니칼한 일이었다.  가장 노동운동이 덜 필요한 이들이 나선 노동운동이라는 것이다.  즉 임금노동의 필요성이 적은 여성들이 나서서 노동운동을 하는 것은 어쩔수 없는 인간 인식과 행동의 한계일수 밖에 없다.  즉 인간은 자신의 객과적 처지를 알수는 없고, 그들의 불만은 항상 상승하는 신분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처지를 이해하고, 이를 다른 집단과 비교하고, 그럴때 불만이 최고조에 달한다.  따라서 아주 피곤하게 종일 일을 하고 남들과 말할 기회도 없고, 세계의 흐름에 대한 지식이나, 인적인 조직적인 네트워크에서 소외된 사람들은 불만을 느낄 시간도 없거니나, 설사 불만을 느꼈다고 하더라고 고립되어 집합행동을 일으키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아무튼 영국에서 일찍이 여성노동과 어린이 노동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노동시간은 19세기 초에는 하루에 12시간을 넘어섰고, 일주일에 70시간 이상 일을 하는 제도였다.  이런 제도에서는 자신의 생물학적 생존외에 다른 생각이나 사회적인 네트워크를 맺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이 되면 독일을 선두로 해서 노동자들을 위한 정당이 등장한다.  맑스주의 이념이 공식적으로 인터내셔널을 통해 채책되고, 엥겔스, 그리고 카우츠키와 베른쉬타인을 통해 정치세력화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현재의 독일의 사민당은 바로 1890년에 세워진 것으로 기록된다.  당시에 사민당은 전체 유권자의 20%정도의 득표를 기록했다.  물론 이후 노동운동의 노선을 둘러싼 농업문제, 수정주의 문제를 전환점으로 기폭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노동자들의 정당으로 지금도 유럽과 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