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과 인민과 국민'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8.30 백성, 인민, 아니면 황국신민

백성, 인민, 아니면 황국신민

역사/1920-29 2010. 8. 30. 07:52

사람들을 표시하는 말은 시대에 따라, 의미가 형성되어 지시한다.  백성은 그냥 여러 성을 가진 일반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백을 숫자가 아닌, 하얀 색을 의미한다면, 소박한 사람들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나 인민이라고 한다면, 이는 인이라는 양반계층과 민이라는 피지배층을 가리킨다.  따라서 매우 정치적인 의미이면서도, 동시에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국가체제나 아니면 이념체제가 등장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요즘 널리 사용하는 국민은 황국신민의 준말로서, 일본의 천황을 떠받듯는 사람으로 의미가 형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국민은 신민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 어휘이다.

1920년대의 백성들과 지배체제나 지배이념을 보면, 흥미로운 현상이 발견된다.  즉 국가가 토지와 민중을 장악하고, 지배해 나가면서, 과거의 자율적인 공동체가 와해되면서, 공동체에 의존하여 살아가던 이들이, 살길이 막연해지고, 의존할 데가 없어지면서, 국가나 국가 주도적인 사회가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토막민이나, 도시의 빈민들에 대한 국가 주도의 사회적인 부조체제의 등장, 한센병 환자에 대한 국가 부조체제의 등장, 어린이에 대한 경제적 주체화와 동시에 착취의 심화, 그리고 이와 동시에 국가의 보살핌을 강조하는 이념의 등장이 그것이다.  1920년대는 또한 사회의 건설이나, 자치론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일제의 식민지배가 강화되면서, 이를 둘러싼 고민이 심각해지던 상황이다.  고민은 자치론이나, 소외된 계층의 사회적 소살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타난 것 같다.

아무튼 국가, 시장경제, 공동체가 아닌 사회적인 요소로 이를 해결하려는 것만은 사실이었다.  이때의 사회는 순수히, 국가와 독립적인, 아니면 시장경제의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오히려, 시장의 수혜자들과 국가의 권력자들, 전통적인 신분계급이 주도하는 사회였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물론 서구나 일본의 경우에도 이런 면은 사실이엇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식민지라는 상황에서 국가주도, 아니 식민당국의 권력이 주도하였다는 점이 더욱 드러났다고 보여진다.  이는 결국, 사회 역시 식민국가의 주도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한국 사회의 시초부터 내재된 국가 주도성이 문제가 된다.

현재의 상황에서 역시 사회는 주로 국가와의 대결내지, 국가에의 의존을 주된 과제로 주어지는 듯하다.  이는 다른 사회와는 달리, 시민운동이 국가와 연관되어 움직이는 결과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일제의 잔재는 결국, 해방후에도 역시 국가가 사회를 주도하려는 국민운동적 사회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군국구의 일본이 착근시킨 국민운동적 사회는 지금도 우리 사회의 역동성을 내재적 자율성을 훼손하는 방향으로 가게하는지도 모르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