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03.13 공장과 가내공업이 의존해서 발달한다.

공장과 가내공업이 의존해서 발달한다.

역사 2009. 3. 13. 11:50
19세기 서구의 산업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면적인 분석을 피해야 한다.  즉 자본주의는 우리가 보통 자본주의라고 말하는 주요한 항목들이 전체 사회를 지배하면서 전일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적인 것이 비자본(또는 전자본)주의적과 결합하고, 서로 이용하고 착취하고, 수탈당하는 가운데 확산되고 수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1960년대 이후에 나타난 저발전의 발전이나, 세계체제론의 관점 또는 역사적 발전으로서의 자본주의라는 관점에 잘 나타나고 있다.  서구의 공장체제의 발전과정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벌어지고있는 공장내 하청, 파견노동, 소사장제, 외부하청, 또는 과거의 선대제와 비슷한 방식까지 실은 전자본주의나 비자본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 그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항상 불가피하게 나타났던 것이다.

영국의 산업발전은 이미 1600년대부터 시작되어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웠다.  특히 모직산업이 발전하여 양을 키우고 이를 이용하여 옷감을 만들고 옷을 제작하였다.  옷을 제작하는 의류산업은 대부분 매우 영세한 가내 수공업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당시의 공장이라는 것은 아직 증기기관이나 전기가 도입되어 기계를 움직이는 형태라기보다는 풍력이나 수력, 또는 동물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를 돌리는 형태였다.  물론 기계의 도입은 상대적으로 170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시작되지만 점진적으로 기계화가 진행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당시의 공장제도는 물론 장인과 도제들이 장악하고 있었고, 이들의 힘은 1800년대 초반되어서야 꺽이고 심지어는 소위 기계파괴운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1800년대 초반 이전의 단계는 장인과 도제에 의한 생산이었다고 한다면 1800년대 초반에는 기계가 도입되어 장인과 도제가 아닌 새로운 기술과 숙련제도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공장 노동자들이 숙련이 없었다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도제제도는 아닌 새로운 형태라는 점이 중요하다.  기계는 여전히 사람의 손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이었고, 상당정도는 어린이나 부녀자와 같은 힘없는 사람이거나, 농촌에서 갓 올라온 이농자가 고용되어도 쉽게 적용할 정도도 있었지만(맑스나 엥걸스가 묘사한 바 처럼), 상당수의 노동자들은 숙련과 교육을 통해 높은 생산성을 올림으로써 이들에 의존한 공장운영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1820-30년대는 따라서 영국에서는 공장과 계급, 그리고 정치제도의 전환기에 해당한다.  공장내에서는 장인의 와해와 새로운 노동자계급의 분화, 장인의 노동자 계급화, 숙련노동자의 고임금화, 저숙련노동자의 비참한 생활, 사회적 불안에 따른 영국의 선거법 개정(평등을 강조) 등이 그것이다.  이는 다른 한편 모직이 아닌 면직 산업의 발전과 괘를 같이 한다고 볼수 있다.  즉 미국 남부지역에 노예를 이용한 대규모의 목화밭이 형성됨으로써 이제 값싼 옷감을 만들어 낼수 있는 방법이 개발된 것이다. 미국은 1800년대 초반만 해도 아직 공장이 발전하지 못했지만, 중반 후반에 접어들면서 서구 유럽대륙에서 저임 노동력, 기존 계급관계나 관습에 때 뭍지 않은 참신한 노동력이 등장함으로써 기계화, 대규모 공장 경영이 가능해지고, 노동자들의 단결보다는 새로운 기회를 선호하는 노동자 군이 대거 등장하게 된다.  미국은 바로 소수의 인종적 노동자들의 저항을 제외하고는, 인종적 분열과 과거 경험과의 단절이라는 상황 속에서 자본가들이 손쉽게 노동자들을 수취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19세기말에 이르르면 미국은 서서히 철강산업이라는 든가에서 근대적 경영기법이라 불리우는 기계제의 도입과 이에 따른 작업제도의 개편이 장인노동자들의 저항 없이 진행되게 된다.  경영자본주의가 발전하게 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