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중국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시기에 조선은 무엇을 하였나?

역사/17-18세기 2009. 2. 4. 15:15

일본 토요토미에 의한 임진 침략, 후금과 청나라에 의한 정묘호란 등의 두차례의 조선반도 침략은 조선을 일거에 약소국으로 전락시키고, 아니면 약속국임을 스스로 증명하게 한 사건이었다.  이후 조선은 그 멸망의 시기까지 당시의 상태를 회복하지 못하고 서구 열강과 중국과 일본의 틈바구니에서 버퉁거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청나라, 일본, 그리고 조선이 각기 다른 길로 가게된 요인은 무엇일까

일본은 이미 1500년대 포르투갈로 부터 조총을 받아들이고, 전쟁의 소요돌이에서 전쟁무기와 실용주의적 경제관, 근검절약하는 습성, 인민들을 효율적으로 통치하는 능력 들을 발전시켰다.  이어서 토구가와 이에야스가 전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네덜란드에게만 무역을 허용하기는 하지만, 은광산을 개발하여 서구와 무역을 전개하고, 내적으로 외부에서 볼 때에는 온 나라가 하나의 군사 요새인 것처럼 보일 정도로 인민들의 법질서에 대한 복종의식이 강하고, 국가통치기구들이 상당한 정도 규율된 형태로 움직인다.  조선의 통신사가 오오사카에서 다음으로 이동할 장소로 물건을 보내놓고, 그것이 전혀 손상됨이 없이 도착한 것을 보고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  필자도 일본에서 두차례 지하철에서 물건을 놓고 내린일이 있는데 빠른 시간에 찾아서 갖다주는 것을 보고 내심 놀란 일이 있다.  물론 군사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상당한 정도 조선의 통신사들에게 제공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상시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전문화된 군인의 수가 8만명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도시의 활력, 규모, 상업의 발달, 인민들의 이동 등이 상당한 정도로 발달하였다고 한다.

후금에서 청나라를 세운 이후에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서 적어도 17세기까지는 영토를 넘히는 작업에 몰두하고 실제로 현재의 중국의 국경선을 획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중국은 러시아와 부딪쳤고, 이에 러시와 더불어 중앙아시아 북부, 그리고 시베리아, 연해주 부근에서도 협상을 벌이고 자신의 영토를 확정하게 된다.  조선은 안탑깝게도, 영토 확정의 노력에는 나서지 못한 것으로 봉니다.  다만 청나라와 백두산 정계비를 통하여 영토획정에 나섰으나, 이 역시 현재까지 우리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이 많은 것 같다. 혹자는 백두산정계비에 나타난 해석을 통해 요하, 할얼빈, 아무르 강으로 대한민국의 영토를 획정하는 것이 옳다고 까지 주장하고 있으나, 아무튼 국경선에 대한 관심이 추세를 따라기 못한 것은 사실이다.

조선의 통신사들이 일본을 방문하여, 그리고 약 1만여명에 달하는 표류자들이 일본을 방문하였고, 또는 무역을 위해 대마도에 나간 상인들을 통해 일본의 현황을 보기는 하였지만, 소중화의식이나 문화적 우월의식을  표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소수가 일본의 문물의 발전에 놀라기는 하였고, 이를 조정에 보고하였지만, 대부분은 시급하게 위협적이라고 보지는 않아서 심각하게 고려한 것 같지는 않다.  따라서 일본과 중국의 발전을 알고는 있었지만, 내부의 능력배양에 미친 영향은 매우 미미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역시 17세기에는 자신들에 대한 우월의식을 키워나가고 있었고, 조선은 아직 소중화의식(이미 망해버린 명나라에 대한 충성, 또는 주자학주의자들의 우세)이 남아 있었고 내부 파벌 싸움이 외부환경 판단을 흐리게 하였고, 국가의식이나 민족의식, 민족적 공동체 의식이 싹튼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내외를 비교하는 의식이 싹튼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에 비해서 늦었고, 서구는 이미 조선반도 주변을 프랑스와 네덜란드 배들이 넘나들면서 호시 탐탐노리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중국의 상인들, 해적들이 조선반도를 넘나들기도 하였다.  이런 상황에 대한 반응은 아무리 영정조의 시기를 높이 평가한다고 하여도, 기껏해야 1700년이 넘어서야 군사력이 임진란 이전의 상태로 회복된다는 사실을 놓고 보면, 너무도 늦었다, 느렸다고 해야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