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이 역사의 진보로 가기 위한 조건들

역사 2009. 1. 4. 08:11
유럽이 당시 가장 경제적으로 앞선 중국을 추월한 시기를 1300년경으로 잡는다면, 유럽의 중세는 암흑기가 아니라, 고도의 경제적 생산력을 만들어내기 위한 준비의 시기였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중세는 대개 프랑크 왕국의 국가체제가 바이킹들(노르웨이와 덴마크인들)에 의해 몰락하고, 지방분권적인 봉건영주체제가 건설되는 시기를 가리킨다.  물론 여기에 가톨릭 교회와 수도원들도 통치기구의 하나를 이루게 된다.  봉건 영주체제란 영주들이 그들의 가신들에게 나누어준 봉토를 다시 농민들에게 분배하여 경작하여 세금을 바치고, 영주는 이들 가신들을 무력으로 보호하는 체제를 가리킨다.  영주는 사실상 국가의 역할을 담당하여 군사와 사법권을 행사하게 된다.  유럽은 어느정도는 왕에 의한 국가체제라는 것이 형식상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힘을 쓰지 못하는 체제가 되어 버린 상태였다.

여기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중앙집권 국가체제에서는 대개 노예제도를 이용한 생산, 또는 용병을 사용하는 징병체제르 갖추고 있었지만, 봉건체제는 노예제가 아닌 자유로운 농민(때로는 농노라고 불리우기는 하여도), 가신들에게 나누어진 봉토를 다시 분배받아 농사를 짓는 제도였다. 따라서 신분적으로는 자유로왔다.  노예제에 비해서는 농업생산이 늘어났다고 평가한다.  물론 인구도 늘어났다.  이를 거두어 들인 가신과 영주들은 잉여생산을 이용하여 교환을 촉진하게 된다.  상업과 도시의 등장이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중앙국가가 강력하게 농업과 상업을 통제하던 시절보다 한결 생산력도 늘어나고 유통도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내부적인 요인외에도 해양을 이용한 장거리 무역도 발전하게 된다.  지중해에서 흑해, 북해연안 도시들간의 무역이 발전하게 되고, 이는 도시들간의 연합이나, 중앙아시아 대륙이 징기스칸에 의해 평정됨으로써 한층 쉬워졌다.

봉건제도의 등장과 더불어 등장한 기사계급은 예비된 전문적인 직업군인들이었다.  이들은 무력집답이면서 동시에 가신과 영주, 또는 더 큰 영주 연합체를 위해 봉사하는 집단이었으나, 항상 체제 위협적인 불안한 세력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이들은 결국 십자군전쟁을 통해 해외의 식민지 건설, 동방지역과의 교류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담당한다.  당시에 문물이 앞선 이슬람 세력들은 십자군을 너무 얖잡아 보기도 했고 내부적으로 수니파와 쉬이터파와의 갈등, 지역적인 분열이 이들에게 패배한 원인이라고 보면 될것이다.  즉 십자군은 상대적으로 가톨릭의 결집된 세력이었던데 반하여, 이슬람권의 방어세력은 분열되어 있었다.

유럽과 이슬람과의 교류는 결국, 앞선 무역능력을 보유하고있던 이슬람권의 아라비아 숫자, 회계제도를 도입하게되었고, 대규모의 근대 국가 경영을 위한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당시의 한반도의 상황을 보면, 한반도 역시 바다에는 마산에서 출발한 세금을 거두어 들인 배가 6척정도가 개경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고, 대마도의 왜구들은 한반도 해안을 유린하였으며, 제주도와 유구(오키나와)간의 왕래도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우리가 장보고에서 알듯이 중국 연안과의 왕래도 활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바다는 국가의 세곡선, 상인들의 국제무역, 인민들의 피난을 위해 활발히 움직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리가 유럽과 다른점은 우리는 해외와의 문명 접촉을 통해 내부적인 개혁(인민들의 평등을 기초로 한 경제활력화, 지방분권을 통한 전체적인 국가의 기반 강화, 외부 문화의 수용)등에 소홀하였던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