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독점 능력이 국가 능력이었다.
역사/17-18세기 2009. 2. 9. 17:11조선 후기의 무역형태를 보면, 일본의 공세적인 조선무역(아마도 청나라와의 중계무역을 통하기도 했을 것이다)과 네델란드와 독점적인 무역을 통해 조선과 중국과의 무역이익을 취하는 형태를 갖고 있었다. 물론 네델란드의 입장에서도 일본과의 무역을 상호간의 독점적 성격에 의해 막대한 차익을 낼수 있는 상황이었다. 일본은 영국와 네델란드가 조선과의 무역을 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저지하고 자신들을 통하여 서구의 물품이 거래되도록 하여 자신들은 중간이익을 취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내었다. 조선은 일본을 통하여 네델란드가 필요로하는 물품을 수출하였고, 일본은 다시 이를 네델란드에 되팔았던 것이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은을 직접 생산하고 있었으므로, 조선에 은을 유입시켜 쉽게 교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반면 조선은 조선와 왜 간의 교역 결제수단인 은을 생산하지 못했으므로, 왜의 은을 통해서 청과 왜의 무역을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유럽의 각 나라들은 이미 은을 통해 국제 무역의 결제를 행하고 있었던 시점이었다.
청나라와는 공식적인 사행과 변경무역을 통해, 그리고 밀무역(황해를 건너는 바다와 만주 국경선지역)을 통해 막대한 양의 물품 교류가 행해지고 있었다. 이는 만주지역에 거주하는 여진족들의 유목민적 성격에 의해 무역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기도 하였지만, 청나라가 서구와의 무역을 엄금함에 따라, 국내 시장이 활성화되었고, 상대적으로 조선과 청나라의 무역을 허용되었으므로, 매우 활발하였던 것이다. 특히 황해 연안은 중국 대륙의 남부와 북부를 연결하는 무역로이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손쉽게 청나라의 무역선들 (특히 강남의 무역선)이 조선반도의 잔라도 연안에 많이 출몰하였다.
조선의 입장에서는 외래무역에 대한 불안감이 이미 청나라와 일본의 침략으로 발생하여 가능하면 무역 역시, 국가의 통제하에 그것도 줄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원칙을 갖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소수의 무역상인들만이 독점적인 이익을 누릴 수 있는 구조, 그리고 무역에 필요한 물품의 국내 교환이 손쉽지 않았으므로, 상대적으로 전시기에 비해서는 시장거래되는 상품이 늘어다고 하여도 역시, 절대량에 있어서는 대규모 무역을 수행하기에는 적합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는 사이에 조선은 국제적인 무역 네트워크에서 소외되었고, 상대적으로 원격지 무역에 의해 발달이 가능한 국내 생산체제의 활성화도 더디게 진행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역사 > 17-18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평등한 세상은 혈연을 강조한다. (0) | 2009.02.11 |
---|---|
자연경제와 도덕경제를 뚫고 나오는 상품경제의 싹들 (0) | 2009.02.10 |
여진 -> 후금 -> 청 나라로 가는 동안 조선은 무엇을 하였는가? (0) | 2009.02.08 |
일본과 중국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시기에 조선은 무엇을 하였나? (0) | 2009.02.04 |
경험의 확대와 공유는 세계관의 혁명을 가졌왔다. (0) | 2009.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