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의 불안이 과거를 불러온다.

역사 2008. 10. 7. 14:11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시간과 공간, 그리고 제도나 사회관계를 꼽는다. 물론 시간이란 물리학적인 기계적인 시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회관계가 누적된 사회적 시간을 가리킨다.   인생을 살아가는 개인은 자신의 시간에 대해 알고 싶어한다.  내가 살아 왔으면서도, 내가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시간들.  내가 살아온 세계마저도 내가 이해할 수 없다면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세계란 어느 세계인가? 라는 의문.   현재의 삶에 대해 적응하지 못하면서, 우리는 과거의 삶을 다시 말하고 싶고, 돌아보고 싶고, 과연 내가 현재는 변하지 않았는데, 내가 잘못해석하면서 살았는가, 아니면 세상이 변하여 내가 적응하지 못하는가?  이런 의문을 갖게 된다.

아마리 우리가 시간과 역사, 지역과 공간, 사회제도와 관행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산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현실은 과거보다는 더 오랜 과거, 내가 알 소 있는 지방보다는 더 넓은 세계를 알아야 세상을 이해하면 살아 갈 수있는 세상이 되었다.  현재의 시간은 점차 불안정해지고, 자연의 섭리도, 자연의 규칙도 사라지고, 인간이 만든 제도들 대부분이 흔들리는 세상이 되었다.  가족도, 직장이나 직업도, 이웃도, 고향사람들도 모두 흔들리고 있다.  내가 모르는 것들이 나를 흔들고, 영향을 주는 세상이 된 것이다.  이럴때 우리의 현재는, 그리고 현재에 기반을 둔 미래는 흔들린다.  나의현재는 어떤 과거의 산물인가?  이런 질문이 고루한가?  현재의 과거의 산물이라는 물리학적 진실, 그리고 미래는 현실의 결과일 것이라는 시간의 불가역성의 진실도 흔들릴 것으로 생각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제 과거를 돌아볼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현재가 너무도 혼란스럽기에!

이런 나의 생각은 김영목, 2004, "집단적 기억과 역사: 19세기 전반의 독일 역사담론"(독어교육, 29집: 456에는 하버마스를 인용하면서, "불안의 원천으로서 미래를 목적론적 역사기획으로 다시 채워보려는" 시도라고 정하였다.  이를 따라서 김영목도 "역사는 원칙적으로 방향성 상실과 위기의식에 대한 일종의 보상으로 기획되고 있다"(457)라고 진술한다.  물론 이러한 역사 서술을 인정한다면 매우 주관적인 역사 서술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  나는 이점을 인정한다. 각자의입장에 따라 서술이 달라지고, 강조점이 그리고 해석하는 방식이 달라진다는 점을 인정한다.  따라서 나는 역사란 하나의 역사가 아닌 각자의 입장에 따른 역사 있을 뿐이고, 중요한 것은 개인에 갖힌 역사를 통해 보편적인 세계관을 공유할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이다.  같은 맥락을 Beredetto Croce(1866-1952)는 "역사상의 사실은 기록자의 마음을 통하여 항상 굴절된다"고 주장하게 한다.  이렇게 역사가 주관적으로 해석된다는 명제, 또는 이 명제를 실제의 역사에서 적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전체주의 사회일수록, 다양한 역사 해석을 부정하고, 국가주의적인 단일한 역사 해석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가족도, 하나의 인간도 마을과 이웃도 부정된다.  단지 국가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역사만이 드러난다.  다양한 역사 해석이 가능한 사회는 그 자체로서 다원성,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이고, 미래를 위해 다양한 가능성의 씨앗을 보유한 사회이므로 어떠한 불확실성과 위험에도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회가 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다양한 역사 해석의 하나를 서술할 것이다(전제주의 사회에서는 공적인 기억을 사적인 기억으로 환원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권귀숙, 2006: 12; Hosking, 1989; Marques, Paez & Serra, 1997을 참조하시오).

:

우울증 치료약과 자살

시사 2008. 10. 7. 09:45
스포츠 조선, 2008. 10. 3일자 기사에 따르면, 최진실의 자살은 항우울제와 술을 동시에 섭취하여 부작용으로 오히려 자살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낳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양래 신경 정신과 김양래 원장은 '환자가 항우울제 항불안제를 복용할 때 의사들은 술을 같이 마시기를 권하지 않고 있다. 적은 양일 경우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취할 정도로 마셨을 때는 약효와 알코올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충동적인 행동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항불안제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약물이 그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항우울증 약이 환자의 심리상태를 차분하게 가라앉혀 주는 기능을 하지만 규칙적인 복용이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되레 감정의 기복을 부를 수도 있다. 최진실 씨의 경우는 충동적이고 우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조심스럽게 밝혔다".

김양래 정신과 의사의 진술은 레이 모이니헌과 앨런 커셀스, 1997/2006, 질병판매학 (알마)의 5장 "마켓팅 전략 5: 우울증, 마음이 문제가 아니라 뇌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시켜라"에 나오는 글의 내용과 일치하고 있다. 120쪽에 보면, "많은 의사와 연구자들은 이런 약들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실제로 자살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유력한 증거에 의하면,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에겐 자살을 생각하거나 실제로 행동에 옮기게 될 확률을 높인다고 지적한다"라고 쓰여 있다.  또한 132쪽에도, "결국 어린이와 청소년 부작용과 관련해 제기된 미발표 소송 건까지 분석해 보면, 이들 항우울제는 평균적으로 자살 충동을 2%에서 4% 가량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인간이 태어나서 우울한 상태를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그리고 그것을 우울증이라는 병적인 증세로까지 만드는 과정 또한 끔찍하다.  나의 인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병으로 치부하는 세태가 조금은 끔찍하다. 오늘 아침 경남 도민일보에도 (2008. 10. 7일자), 우리나라의 우울증 환자가 2007년에 525,466명이라고 아주 구체적인 숫자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자살 예방협회의 자료를 제시하면서, 대한민국 국민들의 2.5%가 우울 장애를 겪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자살 시도자의 50% 가량이 우울증 환자라고 단정하고 있다.

2005년도 경남의 자살이유를 보면(경남도민일보, 2007. 3. 13일자), 경제적 어려움 48.2%, 가정불화 15.4%, 외로움 고독 12.0%, 질환 장애 8.2%, 직장문제 6.0%, 성적, 진학문제 5.0%, 이성문제(실연 등) 2.7%, 기타 2.5%로 나와 있다.  따라서 만일 자살 예방협회의 자료가 자살 시도자를 대상으로 한것이고, 위의 보도는 자살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좀더 자세히 보아야 겠지만, 자살예방협회가 제시한 것 보다는 정신질화의 사유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살자 또는 자살 시도자들을 우울 정신질환으로 귀착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아마도 가정 불화, 외로움과 고독, 직장문게, 성적 및 진학문게,이성문제 등 사회와 인간관계의 부적응 상태를 모두 우울 질환으로 치환한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

사람은 누구가 태어나서 실존적인 고독을 느끼고 더구나 전통적인 공동체가 해체되고, 가족, 이웃, 고향이 사라자닌 사회에서는 고독감을 느끼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다고 이를 우울질환이라고 표현하지는 않는다.  그러면 인류 문명을 풍로롭게 만든 대다수의 사람들은 모두 우울질환을 앓은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그러기에 앞의 질별판매학의 저자는 "환자를 사회적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122쪽).  그리고 환자와 의사사이에 우울의 증상이 "어느 정도까지를 치료가 필요한 의학적 문제로 볼 것인지에 대해 상호 동의를 이뤄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후에 대화, 상담치료, 또는 자신의 고통이나 고민을 글로 적거나 이야기로 말해 보라고 제언하거나, 댄스 교실을 다녀보라고 권고하거나, 더많은 운동을 하는 것을 권유하는 방식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134쪽).  만일 나보고 추천하라고 한다면, 아는 사람과 이야기하기(전화, 편지, 담화 등), 이런 사람이 없다면 인터넷으로 이야기 하기, 그래도 없다면 혼자 글을 많이 쓰기가 일차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몸을 많이 움직이는 운동, 동물이나 식물 등 자연을 돌보는 것, 사회복지단체에서 일하기 등을 권유할 것이다.  이것이 사회적인 대안이다.
:

구제 금융에서 보여준 미국 정치

시사/미국 2008. 10. 2. 11:49
9월 29일 미국 하원에서 미국 연방 재무장관(골드만 삭스 출신)과 연방준비위 의장(하바드대 경제학 교수출신), 연방예금보험공사와 증권 거래 위원회와 논의하면 만든 구제금융안을 부결시켰다.  물론 오늘 상원에서 가결하였고, 아마도 내일정도에 다시 하원에 회부한다고 한다.  이번 조치는 통례적인 청문회나 공청회를 거치 않은 매우 신속하 조치이면서 동시에 미 행정부에 2001년 9.11 테러 시기와 2003년 이락 침공때 부시대통령에 부여한 자의적인 권한을 주는 정도의 매우 자의적인 권한을 행정부에 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의원들은 구제 금융은 다음 대통령 시기에,아니면 적어도 11월 초에 있을 하원의원 선거 및 상원의 1/3을 개선하는 선거 이후에나 논의하자는 입장이었다.  그리고 사실상 하원의원들의 표현에 따르면, 아무리 인터넷을뒤지고, 관련 문서를 밤새워 읽어보아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가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부분의 의원들은 그래도 경제를 잘아는 연방준비위 의장과 재무장관이 하자는 데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고 생각한 모양이다. 
그런데, 구제 금융안이 준비되면서, 그동안 쌓였던 탐욕(위험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남겼던 부자들, 이들 돈을관리해 주고 막대한 급여와 보너스를 챙겼던 경영자들)에 대해 유권자들은 분고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래서 유권자들은 지역구 하원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다.  이에 5주 앞으로 다가온 선거를 의식한 하원의원들은 반대를 아니 할 수 없었다.
국회의원에 대해 반대를 요구하는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잘못하면 업무 방해로 고발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미국에서 표현의 자유로서 초등하교 때부터 바람직한 행동으로 가르친다.  의원의원들의 표결 상황을 가능하면 공표하지 않으려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지만, 특히 지방의회의 경우에는 누가 찬성과 반대를 하는 것이 드러나지 않는 우리의 경우와 비교하면 흥미롭다.  그래서 미국의 하원의원들은 유권자를 무서워 하는 것이다.  프레시안에서는 이를 두고, 공화당의원들의 소신이라고 표현하였다.  자유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이 국가가 왜 개인의 이익을 위해 국민의 세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반대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아무튼 소신, 유권자를 무서워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 부결로 연결된 것이다.

'시사 >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외교전략  (0) 2011.09.29
: